통계청 발표 한국의 사회동향 2020 보고서 분석…제조업 큰 타격IMF 때와 달리 서비스업 충격 커

[이코노뉴스=조희제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국민 2명 중 1명은 일자리를 잃거나 임금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대, 여성, 임시직 근로자 등 노동 취약계층이 주로 고용감소의 직격탄을 맞았다.

▲ (그래픽=통계청 제공)

통계청은 11일 발표한 '한국의 사회동향 2020'에서 일반 국민 중 일자리를 보존했고 코로나19 이전과 동일한 임금을 받았다는 응답은 50.3%에 불과했다고 밝혔다.

반면 나머지 49.7%는 코로나19로 일자리를 잃거나 임금이 줄어들었다. 코로나19 이후 일자리를 잃지는 않았지만 임금이 줄었다는 응답은 26.7%였으며 일자리를 잃은 경우는 14.0%로 조사됐다. 일자리를 잃지는 않았지만 무급휴가 상태라는 응답도 9.0%를 기록했다.

코로나19는 노동시장에도 큰 변화를 미쳤다. 취업자가 줄고 비경제활동인구가 급증한 가운데 실업자 증가로 인해 실업급여 신청이 어느때보다 급증했다.

특히 여성, 20대 이하, 임시직 근로자는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고용감소의 최대 피해자가 된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10월 기준 20대 이하 취업자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5만명 감소해 30대 취업자 감소폭 24만명을 앞질렀다.

여성의 경우 같은 기간 27만1000명의 취업자가 감소해 남자(-15만명)보다 큰 감소폭을 기록했다.

임시직 근로자는 26만1000명이 줄어 상용근로자(1만4000명), 일용직 근로자(-5만9000명)보다 취업자가 더 많이 줄었다.

과거 경제위기 때와 비교하면 IMF외환위기에는 제조업, 건설업이 가장 큰 타격을 받았다면 코로나19 이후에는 서비스업 고용이 직격탄을 맞은 것으로 조사됐다.

음식숙박업 취업자의 경우 IMF외환위기 때 20만2000명이 감소한 반면 코로나19에는 21만2000명이 줄어 더 큰 감소폭을 나타냈다. 교육서비스업도 코로나19 위기에서는 13만명이 줄어든 반면 외환위기 당시에는 2만3000명 증가했다.

코로나19가 진행될수록 감염 책임은 개인에게 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높아졌다. 지난 6월 진행한 코로나19 감염 책임에 관한 조사 결과를 보면, ‘코로나19 감염은 환자 스스로 막을 수 있었다’는 문항에 대해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까지 선택한 응답자의 평균 점수는 3.2점이었다. 확산 초기인 3월 조사 결과(2.8점)보다 0.4점 높아졌다.

오상봉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은 "교육서비스업의 경우 통상적으로 위기가 오더라도 구매력 감소가 극심해지기 전까지는 심각한 영향을 받지 않지만 이번에는 즉각적으로 매우 심각한 영향을 받았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이코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